상황별 응급처치법을 소개합니다.
응급처치법은 기본 상식으로 알고 있으면서 언제 어떻게 생길지 모르는 사고에 대비합시다.
★ 발목을 삐었을 때
등산이나 운동 중 발목을 삐면 부상 당한 발목에 체중이 실리지 않게 주의한다. 우선 신발을 벗고 앉아 손상 부위를 차갑게 식혀준다. 얼음을 수건 등에 싸서 찜질하는 것이 좋지만, 얼음이 없을 때는 찬물을 손수건 등에 적셔 부상 부위를 냉찜질한다. 손상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하면 붓는 증상을 가라앉힐 수 있다. 부목을 대는 것도 좋은데, 부목용 나무가 없을 때는 종이박스나 돗자리를 둥그렇게 말거나 튼튼한 나뭇가지를 발 뒤쪽에 고정시킨다.
★ 코피가 날 때
코피가 날때는 손가락으로 코를 잡고 고개를 앞으로 숙인다. 앉아서 입으로 숨을 쉬면서 코 안에 솜을 넣은 후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양쪽 비약을 5분~15분 눌러준다. 코를 막은 뒤 코 위에 얼음주머니를 대거나 얼음물로 세척하면 혈관수축이 되어 코피가 빨리 멈춘다.
★ 화상을 입었을 때
피부가 빨개지고 화끈거리는 1도 화상이라면 찬물로 상처 부위를 식힌다. 물을 너무 세게 뿌리면 화상 부위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흐르는 물이나 찬물을 컵이나 그릇에 받아 상처 부위를 적셔야 한다. 물집이 잡히고 피부 표면이 벗겨지는 2도 화상은 항균력이 뛰어난 연고를 발라 피부 감염을 예방해야 한다. 2도 화상부터 물집이 생기는데, 물집을 터뜨리면 흉터가 남게 되므로 터뜨리지 않은 상태에서 병원에 간다. 3도 화상은 화상 부위가 하얗게 혹은 검게 변하고 만져도 아프지 않은 상태인데 3도 화상 이후부터는 무조건 빨리 병원에 가야 한다. 특히 전기나 화학물질에 의한 화상은 회복이 쉽지 않으므로 반드시 전문의를 찾는다. 화상 부위에 된장이나 감자를 갈아 바르는 민간요법은 세균 감염 위험이 높으므로 피한다.
★ 팔다리가 골절되었을 때
넘어지거나 부딪쳐서 팔다리 모양이 변형됐거나, 뼛조각이 부딪치는 소리가 나거나, 외상 부위를 눌렀을 때 국소적인 통증이 느껴지면 골절을 의심할 수 있다. 이때는 다친 부위를 가장 편한 자세로 고정하고 응급실로 간다. 특히 팔다리가 꺾이거나 변형된 경우 정확한 검사 없이 현장에서 무리하게 펴면 골절 부위 신경이나 혈관이 손상돼 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열상으로 피가 멈추지 않을 때
피부가 찢어져서 피가 나는 열상을 입었을 때는 상처 부위를 거즈 등으로 덮고 손으로 눌러 지혈한다. 이때 지혈제를 사용하면 지혈제 가루가 상처 사이에 박혀 오히려 상처 치유가 느려질 수 있으니 특별한 경우 아니라면 사용하지 않는다. 계속 출혈이 멈추지 않으면 상처보다 심장에 가까운 부위를 묶어 지혈한다. 너무 세게 묶으면 동맥까지 압박할 수 있으므로 손가락 하나가 들어갈 정도로 묶는다.
★ 못이나 철사에 찔렸을 때
철사나 못처럼 뾰족한 것에 찔리면 세균 감염에 의한 염증이 생기기 쉽다. 이때는 상처의 피를 조금 짜낸 뒤 소독을 한다. 깊이 찔렸을 때는 혈관이나 신경 손상이 생길 우려가 있으니 반드시 병원에 간다. 녹슨 못에 찔렸을 때는 파상풍을 주의한다. 파상풍은 녹슨 못이나 동물의 배설물 등에 서식하는 파상풍균에 의해 생기는 근육수축성 질환으로, 산소가 부족한 깊은 상처 부위에서 잘 생긴다. 파상풍이 의심되면 최대한 빨리 파상풍 예방주사를 맞아야 한다.
★ 벌침에 쏘였을 때
벌침에 쏘이면 주민등록증이나 신용카드처럼 딱딱한 재질의 카드를 침이 박힌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벌침을 제거한다. 침을 제거한 후에는 깨끗한 물로 씻어 내고, 손수건이나 수건을 찬물에 적혀 차갑게 감싸는 것이 좋다. 손으로 벌침을 뽑으려고 하면 오히려 피부 속으로 더 들어갈 수 있고, 세균에 감염될 수 있으니 조심하고, 벌침에 쏘인 뒤 안면부종이나 천식발작 등 호흡곤란, 의식저하 등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119 구조대에 도움을 요청한다.
생활정보통 카카오스토리 소식받기
https://story.kakao.com/ch/lifeinfo/app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림노하우 정말 유용하다 (0) | 2017.04.10 |
---|---|
[생활상식]냉장고 공짜로 버리는 방법 (0) | 2015.02.06 |
[생활정보]계절별 옷 보관하는 방법 (0) | 2015.02.06 |
[생활정보]쌀뜨물 활용법 7가지 (0) | 2015.02.05 |
숙취해소에 좋은 음식과 방법 (0) | 2015.02.05 |